호호 스터디에서 Chapter 6: DI와 서비스 로케이터를 듣기 전에, 미리 책을 읽고 공부한 내용을 기록한 포스팅이다. DI와 서비스 로케이터 각 객체들을 사용하기 위해선 어떤 방법이 좋을까? 아무 생각없이 객체를 생성하고 의존하게 될 경우, Chapter 5에서 배웠던 DIP(의존 역전 원칙), OCP(개방 폐쇄 원칙), SRP(단일 책임 원칙) 등 SOLID 원칙을 어기게 되고, 변경에 유연하지 못한 코드가 만들어질 확률이 높다. 특히, 순환 의존이 발생할 경우, 요구사항이 수정되거나 변경될 경우 모든 객체의 코드를 수정해야 될 수도 있다. 이번 시간에는 DI(Dependency Injection), 서비스 로케이터를 이용한 객체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Service Locat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