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useState 4

[React] typescript로 이벤트들을 useState로 저장하면서 겪은 일

javascript로 프론트를 다루는 분들이라면 초보시절에 왜 에러가 뜨는지 몰랐다가 undefined가 전달되는 경우라든지, 타입이 잘못 전달됐다든지 하는 경우를 굉장히 많이 겪었을 것이다. 나도 요즘 이러한 경우가 많아 굉장히 많은 고통을 겪었으며, 내가 만약 js를 잘하게 돼서 에러가 하나도 없다고 하더라도, 팀원들과의 협업 과정을 위해서, 또는 배포 후 프로그램이 오작동하는 경우를 막기 위해서라도 ts를 익혀야할 필요성을 느껴서 typescript를 익히는 중이다. 음... 난 백엔드니까 이건 안해도 되지 않을까? 하는 마음도 있긴 했는데, 학교 수업 프로젝트에서 프론트 쪽도 좀 건드려보고 싶기도 하고, 내가 나만의 프로젝트를 나 혼자 만들 수 있으려면 프론트도 잘할 줄 알면 좋고, 뭐 아무튼 단..

[React] reducer, action, dispatch가 무엇인지 간단히 알아보자

useState를 사용하면 프로젝트 규모가 커지기 시작할 때, state가 너무 많아지거나 부모와 자식 컴포넌트 간 관계가 굉장히 복잡한 경우가 존재한다. 이런 경우에 부모-자식 관계를 관리해주는 리덕스를 이용하거나 useReducer, contextAPI, dispatch를 사용한다고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 틱택토를 만드는 과정의 일부를 통해 reducer, action, 그리고 dispatch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참고로 이번 포스팅은 조현영님의 React 웹게임 기본강좌 https://youtu.be/ccKoutCkbao 를 수강하면서 복습 용으로 작성하는 것이다. 틱택토에 필요한 states를 useState가 아닌 useReducer로 useState를 사용할 땐 관리하는 state들을 모..

JS/React 2021.11.30

[211105] 리액트 ERROR 해결_Uncaught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reading 'length')

+) 22.01.31. 추가 1. Object여서 length를 사용하지 못해 undefined로 뜨는 경우는 아래 포스팅 참고! 2. 배열을 넘겨줬는데 왜 length를 쓰면 undefined로 뜨는지 의문사하는 경우도 아래 포스팅 참고! https://kth990303.tistory.com/254 [typescript] JS에서 length가 undefined로 뜨는 현상 고치기 객체의 개수를 파악하기 위해 diaryList.length를 console.log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나는 현상을 수정해보자. 문제점 일단 diaryList가 제대로 넘어온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console.log로 diaryList도 쳐보도. kth990303.tistory.com 이 포스팅은 리액트 훅(useState..

JS/React 2021.11.05

[React] 상태변경 예제를 클래스형 setState과 함수형useState 모두 살펴보자

리액트는 컴포넌트 선언을 할 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클래스형, 다른 하나는 함수형이다. 예전에는 클래스형만이 상태변경에 따른 렌더링이 가능하여 클래스형을 많이 썼다고 하나, 최근에는 리액트 훅이 생겨나면서 리액트 훅 + 함수형 컴포넌트의 사용을 더욱 권장하는 시대라 한다. 나는 리액트를 2021년에 처음 맛보기 시작했으니 당연히 후자가 더 익숙했고, 후자의 방법밖에 몰랐으나, 노마드코더에서 전자의 방법을 알려주어 정리 겸 두 가지 방법 모두 기록해보려고 한다. useState 기본예제 설계 리액트를 공부하는 분들이라면 지겹도록 많이 봤을 예제. Counter 예제를 setState/useState 리액트 훅을 이용하여, 혹은 only VanillaJS로만 이용하여 많이 만들어보았을 예제. +를..

JS/React 2021.08.18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