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E 분야에 대해 공부하던 중, timeout 원인을 찾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레이어부터 분석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느꼈다. 실제로 내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모니터링 및 장애대응 업무를 주로 맡고 있기 때문에 해당 내용에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아직까지 규모가 작기 때문에 504 Gateway time-out이 뜬 경험은 거의 없어서 네트워크 패킷까지 뜯어볼 일은 없었다. 이번 기회에 한 번 뜯어보면 언젠가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여 뜯어보기로 결정했다. 참고) 해당 포스팅은 개인 학습기록이므로 틀린 내용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틀린 내용을 혹시 발견하셨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ubuntu에서 tcpdump 캡처하는 방법 1. 우분투 서버에 접속한다. ssh -i {pem KE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