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raph 2

[BOJ] 백준 14867. 물통 (Gold II)

스터디그룹에서 연습 C번으로 진행된 문제. 어떻게 보면 되게 쉽지만, 어떻게 보면 마냥 쉽지만은 않은 문제. 문제는 아래와 같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4867 14867번: 물통 표준 입력으로 물통 A의 용량을 나타내는 정수 a(1 ≤ a < 100,000), 물통 B의 용량을 나타내는 정수 b(a < b ≤ 100,000), 최종 상태에서 물통 A에 남겨야 하는 물의 용량을 나타내는 정수 c(0 ≤ c ≤ a), 최 www.acmicpc.net 의식의 흐름 및 해설 물통 물 양이 각각 C, D가 되기 위한 최소 횟수를 구하는 문제. 이런 유형은 보통 BFS로 접근하는데, 문제는 N이 최대 10만이라 이차원배열로 방문체크를 하면 무조건 시간초과 혹은 메모리초과가 난..

PS/BOJ 2022.01.09

[그래프이론] Degree Sequence / Graphical

그룹원 한분께서 요청해주신 문제를 해결하면서 degree sequence 라는 개념을 알게 됐다. Warming Up 요청해주셨던 문제는 아래와 같다. 한 번 풀어보도록 하자. (degree sequence 개념을 몰라도 해결이 가능하다.) https://www.acmicpc.net/problem/23578 23578번: 비 오는 날 피에스고등학교의 교장 이환이는 학교를 매우 사랑한다. 그래서 이환이는 매일 점심시간에 학교의 모든 건물을 돌아다닌다. 비가 오는 어느 날, 이환이는 학교 곳곳을 돌아다니고 싶었지만 비 www.acmicpc.net 불만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다리로 건물을 연결해야 하며, 따라서 mst를 금방 떠올릴 수 있다. 그러나, 단순 mst 문제는 아니고, 차수에 따라 답이 달..

PS/Algorithm 2021.11.18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