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에러 8

[Spring Data JPA] Custom Repository 구현체 클래스명 주의점

Spring Data JPA 를 사용한다면 (특히 querydsl) 아래와 같은 생각이 들 때가 있다. '클래스명 xxxRepositoryImpl 말고 xxxRepositoryImplementation 이라든지, HappyRepositoryImpl 처럼 좀 줄이거나 바꿔서 작성할 수 없나?' 안된다. 아래 에러를 만나게 된다.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defined in file  빈을 아예 못찾아서 위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원인을 찾기 위해 내려보면, No property foun..

[ERROR] Required request body is missing 해결

Required request body is missing 이 에러를 본 적 있는가? 해석해보자면 요청의 body에 존재해야될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보통 400 Bad Request, 415 Unsupported Media Type 에러와 함께 발생할 확률이 높다. 해당 api를 사용할 때 요청에 들어있는 객체를 이용해서 처리하는데, 정작 요청 body에 값이 없는 것이다. 주로 POST, PUT http method API를 사용할 때 많이 발생한다. 해결 방법은 어떻게 될까? 1. (가장 높은 확률로) 요청 body에 담긴 값이 JSON이 아닐 때 400 Bad Request, 415 Unsupported Media Type 에러와 함께 postman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api 호출을 할..

[ERROR] Request method 'GET' not supported 해결

Request method 'GET' not supported 뿐만 아니라 Request method 'GET' not supported, Request method 'PUT' not supported 등등. Request method '{HTTP method}' not supported 관련 에러가 뜰 때 해당되는 포스팅이다. 보통 405 Method Not Allowed, 500 Internal Server Error와 함께 발생할 확률이 높다. 나의 경우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거나 테스트할 때 위 문구와 함께 500 에러가 발생했다. 원래대로라면 body에 원하는 객체의 속성들이 담겨있어야 한다. 하지만 결과는? com.fasterxml.jackson.databind.exc.UnrecognizedPr..

[ERROR] GroovyRuntimeException: Conflicting module versions. (feat. java.lang.ExceptionInInitializerError)

문제 상황 스프링 환경에서 jdbcTemplate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있었다. 그러던 도중, dao test코드에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웃긴 건, 애플리케이션 실행 자체는 정말 잘 된다는 점이다. groovy.lang.GroovyRuntimeException: Conflicting module versions. Module [groovy-xml is loaded in version 4.0.1 and you are trying to load version 3.0.10 dao 테스트 코드에서만 위 에러가 뜨면서 실패한다. 문제 원인 build.gradle의 rest-assured 버전이 문제였다. testImplementation 'io.rest-assured:rest-assured..

[ERROR] 406 에러 _ Not Acceptable (스프링 직렬화/역직렬화)

문제 상황 스프링 환경에서 특정 dto 를 반환해주는 api에서 406 에러가 발생했다. @GetMapping("/status") public ResponseEntity status() { return ResponseEntity.ok(chessService.getStatus()); } 뿐만 아니라, 응답으로 MoveDto를 받아서 작동하는 move api도 아예 작동하지 않았다. @PostMapping("/move") public ResponseEntity move(@RequestBody MoveDto moveDto) { System.out.println(moveDto); return ResponseEntity.ok(chessService.move(moveDto)); } MoveDto를 요청으로 받아서 ..

[ERROR] 스프링 어노테이션 인식이 안될 때

가끔 프로젝트를 오랜만에 작동하거나, 라이브러리가 최신 버전이 아닐 경우 아래 사진처럼 스프링 어노테이션들이 빨갛게 떠 인식이 안될 때가 있다. 사실 맨 처음엔 나도 정말 당황했었고, 구글링을 해도 잘 해결이 되지 않아 해결에 어려움을 겪었는데, 해결 방법이 정말 간단했다. 너무나도 간단했기 때문에 사람들이 블로그에 포스팅을 안한 것이 아닐까 의심될 정도. 해결방법 스프링 어노테이션들을 인식을 못한다는 것은 결국은 라이브러리(dependencies)들이 제 기능을 못한다는 것이므로 인텔리제이 기준으로 build.gradle에서 빨간 박스의 돌고래 표시(Load Gradle Changes) (단축키 ctrl + shift + O)를 눌러준다. 저 표시는 라이브러리들이나 환경세팅이 변경됐을 경우 그 세팅에 ..

[ERROR] Element type is invalid: expected a string (for built-in components) or a class/function (for composite components) but got: object. 해결

리액트 공부를 하던 도중 아래 에러가 발생했다. Element type is invalid: expected a string (for built-in components) or a class/function (for composite components) but got: object. 근데 정말 신기한 점은 컴포넌트명에 딱히 오타가 없어보인다는 점이다. 리액트에서 디버깅을 시도했는데, 브레이크포인트를 아무리 앞쪽으로 잡아도 바로 저 에러부터 뜨니까 너무 답답했었다. 그런데 알고보니 정말 간단한 곳에 문제가 있었다. 틱택토 컴포넌트를 다른 파일에서 쓸 수 있도록 export default TicTacToe; 를 해놓았으니, 받을 때도 import로 받았어야 했는데 require로 받아버렸다. 그래서 안되는..

JS/React 2021.11.19

[MongoDB] Error Code: E11000 _ key 값이 중복될 때

노드, 리액트 공부하는 강의에서 어떤 분께서 E11000이 뜨는 현상을 질문하셨길래, 아래와 같이 답변해드렸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262400 7강에서 오류가 떠요 - 인프런 | 질문 & 답변 postman에서 이름,패스워드를 json형식으로 쓰고 send를 누르면 success가 나오지 않고 아래처럼 나와요ㅜㅜ 어디가 잘못된 걸 까요 {'success':false,'err':{'driver':true,'name':'MongoError','index':0,'co... www.inflearn.com 몽고디비 E11000 에러는 키값이 중복될 때 발생하는 에러이다. 즉, 위 상황에서는 회원 중복가입을 하여 에러가 발생하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postman으로 ..

JS/Node.js 2021.07.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