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메인 2

[NCP] Global DNS로 Aws Route 53처럼 가비아 도메인 붙이기

Naver Cloud Platform에서는 퍼블릭 ip 대신 구입한 도메인 주소로 라우팅할 수 있게 해주는 Global DNS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NCP에서의 도메인 붙이는 방법은 Aws Route 53에 비해서는 비교적 간단하다. 적용 방법 1. Global DNS 접속 -> 도메인 추가 -> 도메인 주소 입력 도메인 추가를 눌러준 후, 구입한 도메인 이름을 입력해준다. 좌측 도메인 주소 옆 상태를 확인하고 파란색이 될 때까지 대기한다. 해당 도메인에 대해 2개의 레코드가 자동으로 추가가 됐을 것이다. 하나는 SOA 레코드 (해당 도메인의 모든 정보와 권한을 책임지는 필수 레코드)이며, 다른 하나는 NS 레코드(네임서버 레코드)이다. 2. A 레코드 생성 이제 우리는 구입한 도메인 주소가 우리 서버의..

Infra/NCP 2023.02.21

[JAVA] VO(Value Object)로 원시값을 포장해보자

VO(Value Object)란, 도메인에서 속성들을 묶어서 값을 나타내는 객체이다. 사실 나는 VO에 대해서 단순하게 "도메인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객체" 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 이번에 우아한테크코스 미션을 진행하면서 VO 개념을 정립할 수 있었다. VO란 무엇일까? 사실 VO의 개념에 대해선 이 글이 정말 잘 정리가 돼있다. https://tecoble.techcourse.co.kr/post/2020-06-11-value-object/ VO(Value Ojbect)란 무엇일까?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VO라는 이야기를 종종 듣게 된다. VO와 함께 언급되는 개념으로는 Entity, DTO등이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도메인 주도 설계까지도 함께 언급된다. 이 글에서는 우선 다 tecobl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