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ockbean 2

[AWS] S3 연동 후 Spring Boot 파일 업로드 구현 일지

해당 글에서는 AWS S3 연동 및 @MockBean을 이용한 테스트 코드에 대해 다룹니다. S3 버킷 정책, 퍼블릭 액세스에 대한 추측 및 의문이 존재합니다. 사이드 프로젝트 `모카콩`의 Wiki에 작성한 글에 해당된다. 해당 프로젝트 github: https://github.com/mocacong/Mocacong-Backend GitHub - mocacong/Mocacong-Backend: 모카콩 백엔드 모카콩 백엔드. Contribute to mocacong/Mocacong-Backend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들어가며 모카콩에서는 프로필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마이페이지에서 프로필 이미지 수정을 클릭해서, 언제..

Infra/Aws 2023.04.09

[Spring] @MockBean VS @SpyBean

Spring Boot 환경에서 여러 협력 객체들이 존재하는 통합테스트는 빈을 호출하기 위해 @SpringBootTest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협력 객체들이 많을 때에는 테스트를 위한 기대 행위 전처리 작업을 mockito를 이용하여 stub을 통해 test double을 만들어주는 경우들이 존재한다. @SpringBootTest와 함께 사용한다면 @Mock, @InjectMocks 대신 @MockBean을 주로 사용할 것이다. 그런데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하던 도중 @SpyBean이라는 어노테이션을 알게 됐다. 이 어노테이션은 뭐하는 애일까? 그리고 어떻게 사용하는게 좋을까? @MockBean 개인적으로 나는 웬만해선 @MockBean 대신 실제 객체를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