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ock 2

[Kotlin] mock 테스트를 작성할 때 기억하면 좋은 점들

스프링 환경에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때, unit test가 아닌 이상 모킹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참 많다.나의 경우는 테스트를 하고 싶은 객체의 함수 외에, 관심사가 아닌 함수들과 의존객체들을 주로 mock 으로 처리하는 듯.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떻게 보면 굉장히 단순하지만, 최근 내가 잊고 있었던 내용들을 기록해보려 한다.`굳이 기록까지 해야되나?` 싶기도 하다. 하지만 가끔씩 상기시키면 좋을 듯한, 그리고 요즘같이 바쁜 시기에 이걸 잊으면 맞왜틀? (맞게 작성했는데 왜 테스트 안돌아감?) 을 할 수 있을듯한 내용들이라.. 나를 위해 기록하려 한다. data class 는 mock 이 불가능하다.아무 생각없이 data class mock을 반환하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 적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

[Spring] FeignClient를 이용한 Apple OAuth 구현 일지 (2)

해당 글에서는 Apple OAuth 연동 프로덕션 코드와 테스트 코드에 대해 다룹니다. 모카콩에서는 iOS 앱 배포를 위해 Apple OAuth를 구현했습니다. Apple OAuth 이론, FeignClient 설정과 선정 이유, 관련 프로덕션, 테스트 코드는 1편에서 볼 수 있습니다. https://kth990303.tistory.com/436 [Spring] FeignClient를 이용한 Apple OAuth 구현 일지 (1) 해당 글에서는 spring boot에서의 FeignClient 선택 이유 및 연동 프로덕션 및 테스트 코드, Apple OAuth 이론에 대해 다룹니다. 사이드 프로젝트 `모카콩`의 Wiki에 작성한 글에 해당된다. 해당 프로젝트 git kth990303.tistory.com..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