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c2 5

[RDS] (적은 트래픽에서) t3.micro ~ t3.xlarge 성능 직접 업그레이드하며 비교해보기

우리는 트래픽이 몰릴 때, DB의 처리 능력 발휘를 위해 CPU를 올리고 데이터를 많이 관리하기 위해 Memory를 올린다. 실제로 트래픽이 많을 때 스펙업을 하면 CPU Utilization, Memory 점유율이 안정되는 것을 종종 확인할 수 있다. 그러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트래픽이 적을 때, 오래 걸리는 메서드를 수행하면 RDS 스펙마다 어느 정도 성능이 차이가 날까? 트래픽이 많다면 동시에 들어오는 요청이 많을테니 vCPU, Memory가 높은 것이 확실히 유리하긴 할 것이다. 그런데 트래픽이 적을 때 + 단순 반복이 많아서 좀 오래 걸리는 로직에도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을까? 공식 문서(https://aws.amazon.com/ko/rds/instance-types/)에는 아래와 같이 안..

Infra/Aws 2023.09.22

[AWS] Swap File을 이용해 EC2 메모리 부족 현상을 해결해보자

작업을 하던 중 aws ec2 메모리 부족현상이 발생했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t4g.micro 인스턴스 유형은 램이 1GB였고, 이는 메모리 부족현상을 충분히(?) 볼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양의 메모리였다. 이러한 현상을 어떻게 해결할까 고민하다가 swap file을 이용한 swap memory 할당이라는 방법을 알게 됐다! 스왑 파일을 이용한 스왑 공간 할당 ec2 램 메모리가 가득 찼기 때문에 실제 디스크의 용량을 이용하여 부족한 메모리를 대체할 공간을 swap memory(스왑 공간)이라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에서 swap file을 생성하여 스왑 메모리를 할당하는 방법을 기록할 것이다. 보통 swap memory는 할당된 램 메모리의 2배 또는 그 이상을 추천하고 있다. 내가 사용..

Infra/Aws 2022.08.13

[AWS] AWS Educate에서 더 이상 무료 프리티어 기능을 제공해주지 않는 것 같다

학교 계정으로 AWS Educate을 이용해 신용카드 없이 ec2 인스턴스를 생성해보려 했다. 그래서 aws educate를 접속하고 로그인해본 결과... 예전과는 다르게 사이트 UI가 싹 바뀌고 Console 접속하는 버튼이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글링하면 분명 aws educate으로 console에 접속하여 신용카드 등록하여 가입하는 과정 없이 ec2를 생성할 수 있다고 하는데... 신용카드가 없던 나에겐 한줌의 단비같은 소식이었는데... 그래서 결국 방법을 도저히 찾지 못해 aws 고객센터에 콩글리쉬로 papago의 도움을 이용하여 겨우겨우 문의해보았다. 그리고 5분만에 바로 답장을 받았다! 19시에 메일을 작성해서 미국 기준으론 출근한 시간대여서 그런가, 매우 빠르게 답장이 왔다 ㅎㅎ..

Infra/Aws 2022.08.08

[AWS] Mysql + 웹 애플리케이션 AWS에 자동 배포하기

스프링 웹 애플리케이션을 aws 인스턴스에 배포하는 방법은 지난 포스팅(329번 포스팅)에 작성했었다. 또, 자동 배포 스크립트를 생성하여 배포하는 방법도 334번 포스팅에 작성했다. https://kth990303.tistory.com/329 [AWS] AWS EC2를 이용하여 스프링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해보기 AWS는 아마존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이다. 여기서 클라우드 서비스란, IT 리소스(CPU, 메모리 등의 자원)를 인터넷으로 빌려주고 사용한 만큼의 비용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EC2는 Elasti kth990303.tistory.com https://kth990303.tistory.com/334 [AWS][Spring] Aws 우분투 인스턴스 웹 애플리케이션 자동 배포 스크립트 만들..

Infra/Aws 2022.06.08

[AWS] AWS EC2를 이용하여 스프링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해보기

AWS는 아마존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이다. 여기서 클라우드 서비스란, IT 리소스(CPU, 메모리 등의 자원)를 인터넷으로 빌려주고 사용한 만큼의 비용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EC2는 Elastic Computer Cloud → ECC → EC2로, 클라우드에서 컴퓨팅 파워의 규모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는 웹서비스이다. EC2는 탄력적인 특성을 갖고 있어 개발자들이 트래픽의 스파이크 또는 수요에 맞춰 즉시 용량을 조정할 수 있다. EC2에 대해 궁금하다면 아래 FAQ를 확인해보자. https://aws.amazon.com/ko/ec2/faqs/ Amazon EC2 FAQ – Amazon Web Services aws.amazon.com AWS EC2를 이용하면 로컬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

Infra/Aws 2022.06.01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