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ehaviorSpec 2

[Kotest] Nested Test spec에서의 context 생명주기 및 트랜잭션

코틀린 프로젝트에서 kotest로 테스트 코드를 짜다가 통과해야 할 테스트가 통과하지 않는 현상을 마주치게 됐다. 우리는 StringSpec과 유사한, 중첩되지 않은 구조에서 Given - When - Then 구조의 BehaviorSpec 스타일로 테스트를 마이그레이션하고 있었다. 위 두 테스트 코드는 아예 동일하다. 그저 계층만 나뉘게 바뀌었을 뿐. 구조에 따라 계층을 나누기만 하고, 순서 변경이라든지 코드의 변경이 없었으니 테스트는 당연히 문제 없이 통과할 줄 알았다. 그런데 결과는? Tests Failed... 당연히 WAITING에서 PASS로 변경될 줄 알았는데 Given에서 진행해준 update가 진행되지 않고 WAITING인 상태로 테스트가 진행됐다. 심지어 코드 변경은 전혀 없고 구조에 ..

[Kotest] Kotest Spec으로 다양한 테스트 코드 스타일을 작성해보자

스프링에서 코틀린을 사용할 때, 테스트 도구로 JUnit뿐만 아니라 kotest를 사용할 수 있다. kotest는 다양한 테스트 스타일을 제공한다. JUnit과 유사한 Annotation Spec, String Spec, 그리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given when then 스타일을 사용할 수 있도록 Behaivor Spec을 제공해주기도 한다. DCI 패턴을 활용할 수 있도록 Describe Spec도 제공해준다. 이번 시간에는 kotest에서 제공해주는 spec을 살펴볼 것이다. kotest의 장점 JUnit, Mockito를 사용할 경우 Kotlin DSL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kotest를 활용하면 kotlin DSL을 사용해 더 코틀린스러운 테스트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