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록시 2

[Spring] @Configuration vs @Component

스프링은 IoC 컨테이너를 통해 적재적소에 빈 객체를 반환해준다. @Configuration,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붙여주면 해당 클래스는 스프링 관리 대상이 된다는 점을 보면 크게 차이는 없어보일 수 있다. 어떠한 상황에 @Configuration을 쓰고 어떠한 상황에 @Component를 쓰는 것이 좋을까? 1. @Configuration은 @Component를 포함하고 있다 둘의 차이점을 비교하기 전에, @Configuration이 @Component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자. 그렇기 때문에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이 붙여진 클래스도 @Component 어노테이션이 붙여진 클래스처럼 스프링 컨테이너 관리 대상이다. 참고로 @Component는 아래와 같이 소개돼있다. ..

[Network] 프록시(Proxy)와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HTTP를 HTTPS로 변환하는 과정을 진행하다보면 NGinx라는 것을 만나게 되고, NGinx는 리버스 프록시, 로드밸런싱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웹 서버 오픈소스임을 알게 된다. 리버스 프록시? 로드밸런싱? 이런 것들이 다 무엇일까? 이번 포스팅에선 이 내용들에 대해 기록해보려고 한다. 아마 컴퓨터공학과 전공 수업에서 잠깐 만났어서 익숙한 사람들도 꽤 있을 것 같다. 프록시 (Proxy) 흔히 포워딩 프록시(Forwarding Proxy)를 통상적으로 프록시라고 부른다. 프록시의 사전적 정의는 아래와 같다.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가리킨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중계기로서 대리로 통신을 수..

CS/Http, Network 2022.07.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