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쿼리로 결과가 나올 때, 데이터가 너무 많으면 사용자가 보기에도 불편하고 로딩에도 오랜 시간이 걸린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사이트들에선 많은 데이터들을 페이지로 나누어서 관리한다. 스크롤을 내릴 때마다 데이터를 추가로 로드하는 무한 스크롤 방식을 사용하거나, 이전/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이렇게 페이징 기법을 적용하려면 전체 데이터 개수와 요구되는 페이지넘버에 따른 인덱싱 계산을 해주어야 하는데, 실수할 여지도 많고 꽤나 번거롭다. 다행히 Spring Data JPA에서는 스스로 페이지 관련 인덱싱을 계산해준 결과를 반환해주는 기능을 제공해준다. 이번 포스팅에선 Spring Data JPA의 Pageable, Page에 대해 알아보고 MVC 패턴에서 Pageable이 어디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