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프링부트 3

[Spring] @MockBean VS @SpyBean

Spring Boot 환경에서 여러 협력 객체들이 존재하는 통합테스트는 빈을 호출하기 위해 @SpringBootTest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협력 객체들이 많을 때에는 테스트를 위한 기대 행위 전처리 작업을 mockito를 이용하여 stub을 통해 test double을 만들어주는 경우들이 존재한다. @SpringBootTest와 함께 사용한다면 @Mock, @InjectMocks 대신 @MockBean을 주로 사용할 것이다. 그런데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하던 도중 @SpyBean이라는 어노테이션을 알게 됐다. 이 어노테이션은 뭐하는 애일까? 그리고 어떻게 사용하는게 좋을까? @MockBean 개인적으로 나는 웬만해선 @MockBean 대신 실제 객체를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

[Spring+React] 스프링과 리액트 연동해보기 (IntelliJ + Spring + Gradle + React)

원래는 BE는 스프링으로, FE는 타임리프로 열심히 프로젝트를 하고 있었다가, 비동기 처리 부분에서 타임리프의 한계를 느껴 java 공부는 잠시 뒤로 하고 리액트를 주구장창 파고 있는 중이다. 자바스크립트가 하다보면 재밌는데, 자바랑 너무 느낌이 다른 언어라 아직은 익숙치 않다... (자바가 꼰대언어라면, 자바스크립트는 미쳐 날뛰는 잼민이같은 느낌이랄까...) 아무튼 그래서 리액트 공부도 하고 있고, 스프링도 다루고 있으니 한번 둘을 연동해보는 환경세팅 포스팅을 작성해보면 좋을 것 같아 포스팅을 작성한다. 요구 선행지식 - 간단한 리액트 / 자바 지식 및 MVC 구조 리액트와 스프링을 연동하는 것이니, 당연히 리액트가 뭔지, 스프링이 뭔지 정도는 알아야 한다. 스프링을 할 줄 아려면 java 프로그래밍 ..

[Spring] 빈 생명주기 콜백과 객체의 초기화

4월이 되고 일병4호봉이 되었다. 그 기념 오늘은 스프링 공부를 하려 한다. (???) 사실 위 이유는 농담이고, 요즘 nodejs, 백준 알고리즘 공부로 인해 스프링부트 공부를 많이 진행하지 못했다. 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 강의를 4월 중순까진 완강하고 5월부터는 spring security를 이용한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거나, crud 기능을 응용해서 게시판 기능을 만들거나, 아니라면 크롤링을 통해 유저의 맞은 문제 리스트를 보여주는 기능을 구현하든지 하고 싶다. 사실 이런 내용은 나중에 따로 내 일기장 글에 포스팅하면 되므로 여기서 마치고 본론으로 어서 들어가보자. 인프런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강좌를 수강하고 제 개인적인 공부를 복습 겸 포스팅한 내용입니다. 틀린 내용은 댓글로 피드백 부탁드립..

JAVA/Spring_Core 2021.04.01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