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레드풀 2

[Spring] Spring Boot + Shedlock 이용한 API 응답 캐싱 폴링

우리 팀 API가 아닌 타 팀(또는 타사) API를 호출하여 응답을 이용하긴 하는데, 응답이 너무 반복적으로 같은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국가 별 수도 목록을 구하는 api를 매번 호출한다고 하자. 수도는 웬만해서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응답을 캐싱해두면 좋아보인다. 하지만 가끔 캐싱만으로는 걱정되는 경우가 존재한다.이번에 나는 캐싱 뿐 아니라, 폴링 로직을 추가하는 경험을 해보았는데 처음 경험해보는 것이어서 기록용으로 포스팅에 남겨두려고 한다. 포스팅 작성 시점 기준으로, 사내 개발환경에만 도입해보았고 실제 운영환경에 작성되지 않아 틀린점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틀린 점 및 보완할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폴링을 고려하게 된 계기응답을 캐싱해두면, 그 다음번부터는 api를 호출할 필요 없이..

[220913] 우아한테크코스 레벨4 - 톰캣 구현하기 미션 후기

레벨4에 들어서면서 그동안 우리가 흔히 사용했던 스프링에 대해 좀 더 딥하게 알아보고 구현해보는 시간을 가지게 됐다. 아래는 우테코 레벨4 일정이다. 그 중에서 첫 번째 미션은 [톰캣 구현하기]이다. 그 동안 우리는 스프링을 이용한 덕분에 HTTP 요청을 받으면 그에 맞는 응답을 편리하게 만들어줄 수 있었다. 이는 Dispatcher Servlet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 이번 미션을 통해서 WAS, tomcat, Dispatcher Servlet이 각각 무엇인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배울 수 있었다. 특히 4단계의 '동시성 확장하기' 미션 덕분에 스레드, 스레드풀에 대한 개념을 공부할 수 있었다. 내 최종 코드 및 각 단계별 PR은 아래 레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github.com/w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