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블릿 2

[220913] 우아한테크코스 레벨4 - 톰캣 구현하기 미션 후기

레벨4에 들어서면서 그동안 우리가 흔히 사용했던 스프링에 대해 좀 더 딥하게 알아보고 구현해보는 시간을 가지게 됐다. 아래는 우테코 레벨4 일정이다. 그 중에서 첫 번째 미션은 [톰캣 구현하기]이다. 그 동안 우리는 스프링을 이용한 덕분에 HTTP 요청을 받으면 그에 맞는 응답을 편리하게 만들어줄 수 있었다. 이는 Dispatcher Servlet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 이번 미션을 통해서 WAS, tomcat, Dispatcher Servlet이 각각 무엇인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배울 수 있었다. 특히 4단계의 '동시성 확장하기' 미션 덕분에 스레드, 스레드풀에 대한 개념을 공부할 수 있었다. 내 최종 코드 및 각 단계별 PR은 아래 레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github.com/wo..

[Spring] 스프링이 태어난 이유_서블릿, JSP로 만든 MVC의 한계

김영한님의 스프링 입문과 기본편을 듣고, 스프링 mvc편을 들으며 Servlet, JSP를 하면서 느낀 점은 요즘은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도입돼서 정말 다행이라는 점이다. 이렇게 느낀 이유를 아래에 포스팅해보겠다. Servlet을 하면서 사실 나는 6개월 정도 전에 Spring을 아예 모르고 단순히 웹개발을 해보고 싶다는 마음에 커리큘럼을 알아보다가 완전 쌩 Servlet부터 배워보려고 Servlet을 처음 접한 적이 있다. 그 때 당시 내가 짜던 코드는 회원가입 서비스를 만들어보려고 책을 참고해서 변형해 만들어본 코드였는데, MemberDAO, MemberVO, MemberServlet 세 개의 클래스 코드를 열심히 짠 기록이 깃헙에 남아있어 코드를 가져와보았다. 아래 코드는 HttpServlet을 상속..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