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테스트 코드를 한 번 보자. 빈 문자열 또는 null일 경우 0을 반환해주게 하는 테스트 코드이다. 또 다른 테스트 코드도 한 번 보자. 방금 보여준 두 개의 테스트 코드는 모두 어딘가에 하자(?)가 존재한다. 바로바로... 하나의 테스트 메소드에 불필요하게 너무 많은 assert문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보통, 검증을 제대로 못했거나, 하나의 메소드에 하나의 test라고 생각했지만 여러 개의 test를 묶어놓은 경우이다. 우리는 위 코드들을 알아보기 쉽게 리팩토링해볼 것이다. 1. @ParameterizedTest 이용 먼저 맨 처음 테스트코드 먼저 고쳐보자. 사실 리뷰어(이하 미르)의 피드백을 받기 전까진 @ParameterizedTest가 무엇인지도 몰랐다. @Parameteri..